조선초기2 정종, 피의 난세 속에서 평화를 택한 왕 조선 제2대 국왕, 정종의 삶을 다시 보다조선을 창업한 태조 이성계의 뒤를 이어 즉위한 정종(定宗, 1357~1419) 은 일반적으로 조명을 덜 받는 왕입니다. 왕위에 올랐으나 실권은 동생 이방원(태종)이 쥐고 있었고, 재위 기간도 불과 2년 남짓. 그러나 그의 삶을 들여다보면 무장이자 충직한 아들이었으며, 가족을 아끼고 권력을 탐하지 않았던 평화주의적 군주의 면모가 드러납니다. 그의 이름은 본래 이방과(李芳果), 즉위 후에는 이경(李曔) 으로 개명했습니다. 그의 묘호인 ‘정종’은 1681년 숙종 대에 가서야 추증되었으며, 그동안 다른 왕들에 비해 낮은 예우를 받아왔습니다.아버지 이성계를 닮은 무장의 삶정종은 1357년, 함흥에서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났습니다. 첫째 형 이방우.. 2025. 9. 4. 이방원, 피의 건국을 넘어 조선의 길을 연 군주 이방원, 피의 건국을 넘어 조선의 길을 연 군주 조선이라는 나라는 단순히 고려의 뒤를 이은 새 왕조가 아니었다. 조선은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철저하게 재편된 정치체제였으며, 그 중심에는 누구보다도 냉철하고 결단력 있는 인물이 있었다. 바로 이방원, 조선 제3대 임금 **태종(太宗)**이다. 그는 고려를 무너뜨린 아버지 이성계의 아들이었고, 건국의 주역이자 피로써 권력을 쟁취한 왕이었다. 그러나 그의 통치는 단순한 권력욕의 산물이 아니었다. 이방원은 혼란을 끝내고, 나라의 기틀을 다진 냉정한 조율자이자 강력한 국가 체제의 설계자였다. 개국의 설계자, 아버지의 그늘 속에서 이방원은 1367년,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젊은 시절부터 학문과 무예를 두루 익혔고, 특히 고려 말 혼란한 정국에서.. 2025. 8. 19. 이전 1 다음